RHCSA 뿌수기 5일차
1. SSH 키젠후 접속하기

ssh-keygen 을 사용하여 키를 생성한다.

그럼 홈디렉터리에 .ssh 디렉터리에 id_rsa(개인키), id_rsa.pub(공용키)가 생성된다.

ssh 공용키를 서버에 전달한다.

비번없이 접속이된다.

id_rsa.pub 공용키가

인증키에도 저장되어 있다.
2. systemctl 개념 필요한 명령어 연습하기
systemd : 2015년을 기준으로 수많은 리눅스 배포판들은 systemd를 자신들의 기본 init 시스템으로 채택하고 있다. systemd의 채택이 증가되어 기능이 복잡해졌을뿐 아니라 배포판들이 채택을 강요받게 되면서 소프트웨어가 유닉스 철학을 위반했다는 비평을 받기에 이르렀다
systemctl : 리눅스의 systemd 와 service manager 를 컨트롤 하기위한 도구. 서비스의 상태 진단, 설정변경, 구동과 중단 등의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현재 httpd 를 stop 시키고 상태를 확인 하였더니 inactive 상태가 된다.

httpd를 재실행시키고 상태를 확인했다
systemctl과 같이 사용하는 명령어를 알아보겟다
시스템 시작
systemctl start <서비스 이름>
시스템 중지
systemctl stop <서비스 이름>
시스템 재시작
systemctl restart <서비스 이름>
시스템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서비스 이름>
시스템 자동실행 설정 미설정
systemctl enable <서비스 이름>
systemctl disalbe <서비스 이름>
-
시스템 리로드(설정 적용)
systemctl reload <서비스 이름>
3. rpm, yum, repository 개념 실습하기
레드햇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도구로 CentOS는 레드햇 계열이기 때문에 해당 명령어를 사용한다.
rpm
설치
rpm -ivh 패키지명
확인
rpm -qa | grep 패키지명
제거
rpm -ev 패키지명
업그레이드
rpm -Uvh 패키지명
yum
하지만 rpm은 의존성문제가 있다.
의존성이란 해당 패키지를 사용하기 위해서 다른 패키지파일들을 다운받아야하는데 rpm은 지정한 파일만을 설치한다
yum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왔다.
yum -y install 패키지명 (여기서 -y는 어떠한 대답에도 yes로 해서 설치 하겠다는 의미이다.)
yum -y update 패키지명 ( 업데이트)
yum -y remove 패키지명 <삭제>
yum repository
yum repository는 패키지를 모아놓은 장소이다. yum을 통해 패키지 설치시 활성화 된 yum repository에서 package를 설치하기 떄문에 repository에 없다면 설치할 수 없다.

현재 활성화된 repository를 확인할 수 있다.

레포지토리의 저장장소는 해당 장소에 저장된다.
yum repository는 수동으로 입력하여 추가하는 방법과 RPM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yum repository 수동 설치
/etc/yum.reposd.d/레포지토리이름.repo 형태로 파일을 생성한다.
-rpm으로 설치
REMI에는 최신버전인 패캐지들이 설치되어있다
우선 EPEL을 설치한다.
yum install -y epel-release
/etc/yum.reposd.d/에 파일이 추가 되었을 것이다.
4. 시스템 사용시 root 비번 까먹었다고 가정하고
재부팅하고 루트 비번 바꿔서 접속하기

먼저 재부팅시키고 방향키 위아래로 고정시킨다
(현재 나는 root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되찾으려 한다)
e키를 눌러 편집을 한다.

해당 부분은 rd.break

crtl+x 눌러재시작한다.

switch_root 로 실행된다.

해당 명령어로 마운트 한다.

chroot /sysroot 명령어 입력
passwd

passwd 명령어로 패스워드 설정
touch / .autorelabel
root
root
5. cron, at 개념 및 실습 한가지 찾아서 실습해보기
- CRON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을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
서비스 : crond, 파일 /etc/crontab
/etc/crontab 형식
분 시 일 월 요일 사용자 실행명령
00 05 1 * * root cp -r /home/backup
- at
일회성 작업
한번막 작업
at <시간>
확인 at -l
취소 atrm<작업번호>
- 실습
목표
cron을 활요하여 매월 15일 새벽 3시 1분 /home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를 /backup 디렉터리에 백업하는 방법을 익힌다.
vi /etc/crontab


날짜가 지나자 파일이 생성된 모습
(crontab -u 유저 -e 명령어를 해도 크론을 설정할 수 있다)
at 실습
내일 새벽 4시에 명령을 실행

이후 ctrl + d를

예약된 명령삭제

6. tuned 개념 실습하기
Tuned 는 시스템 모듈로서 시스템 사용에 대한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고, 수집하여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시스템 설정을 조절하기 위한 데몬이다.
보통 CPU 전력 소비 비활성화를 Disable 하거나, CPU/네트웍/디스크 등의 설정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며, Profile 이 패키지로 묶여있어, 리눅스 튜닝에 대해 잘모르는 분들이 쉽게 튜닝하도록 만들어진 모듈이라고 볼수 있다.

tuned를 설치해준다 .
A.6. tuned-adm Red Hat Enterprise Linux 7 | Red Hat Customer Portal
The Red Hat Customer Portal delivers the knowledge, expertise, and guidance available through your Red Hat subscription.
access.redhat.com
자세한 설정에 관한 설명으 해당 링크에 있다.

재실행 시켜주고 활성화 시켜준다

이런식으로 모드 변경도 가능하다